2011년 1월 18일 화요일

김가연·임요환, SBS 설특집 소시 '훗' 도전

김가연(왼쪽)과 임요환ⓒ홍봉진 기자

김가연 임요환 커플이 SBS 설특집 '스타커플 최강전'(연출 이영준)에서 소녀시대 '훗'에 도전한다.
김가연 임요환 커플은 지난 15일 진행된 '스타커플 최강전' 녹화에서 소녀시대 '훗' 안무를 선보였다. 두 사람은 소녀시대 무대의상과 비슷한 007 첩보요원 수트와 권총 등의 소품을 이용해 화려한 무대를 선사했다.
한 관계자는 "김가연의 '훗' 무대 오프닝에 임요환이 등장해 즉흥적인 댄스를 췄다"며 "임요환은 긴장한 기색 없이 막춤을 선보였고, 김가연은 무용과 출신이라 2시간 연습 끝에 금방 따라하더라"고 전했다.
이외에도 이날 녹화에는 SBS 주말드라마 '시크릿가든'에서 김주원(현빈 분)의 동생으로 나온 최윤소와 온유의 커플댄스, 축구선수 여민지와 샤이니 민호의 커플댄스 등이 펼쳐졌다.

[단독] 그룹 모닝 출신 '신비 소녀' 장민경, 법조인과 결혼


[스포츠한국]

22일 오후 2시 부산에서 예식

'신비 소녀' 장민경이 법조인과 백년가약을 맺는다.

그룹 모닝 출신 배우 장민경은 22일 오후 2시 부산에 있는 한 웨딩홀에서 9세 연상의 법조인 심모씨와 웨딩마치를 울린다.

두 사람의 측근은 스포츠한국과 인터뷰에서 "장민경과 예비 신랑은 10여 년째 알아온 지인이었다. 두 사람은 지난해 연인으로 발전해 예쁜 사랑을 키워오다 결혼식을 올리게 됐다"고 말했다.

장민경의 예비 신랑 심씨는 호남형의 외모와 따뜻한 심성을 가진 실력파 법조인으로 업계에서 유명하다. 이 측근에 따르면 장민경은 고등학교까지 부산에서 자랐고, 예비 신랑 역시 부산 출신이라 식장을 부산으로 정했다. 장민경은 최근까지 케이블 채널과 곰TV 등에서 진행자로 나서 대중을 만났다. 이 측근에 따르면 결혼 후에도 남편의 내조와 함께 점진적으로 방송 활동을 재개할 계획이다.

장민경은 2001년 영화 <비밀>에서 배우 김승우의 상대역으로 출연해 스타덤에 올랐다. 인형 같은 얼굴과 신비한 눈동자로 '신비 소녀'라는 애칭으로 불렸다. 장민경은 2003년 백보람 등과 함께 그룹 모닝으로 가수 활동에 나섰다. 장민경은 이후 MBC 시트콤 <논스톱 4>와 MBC <강호동의 천생연분> 등에 출연해 인기를 얻었다. /스포츠한국

삼국지 맞먹는 ‘걸그룹 지도’ , 흥망성쇠 한눈에 보여


[동아닷컴]
한국 가요계 걸그룹의 열풍의 흐름을 재밌게 그린 이른바 ‘걸그룹 지도’가 화제다.

최근 각종 인터넷 커뮤니티와 블로그를 중심으로 시대별 걸그룹의 인기와 인지도를 표현한 그림이 누리꾼들에게 눈길을 끌고 있다.

이 그림 지도에서는 걸그룹 태동기부터 걸그룹 열국시대까지 시대별로 걸 그룹의 인기와 인지도에 따라 소유한 영역을 보여주고 있다.

걸그룹 태동기= 구제국의 몰락과 ‘원걸족’(원더걸스)과 ‘소시족’(소녀시대)등 신흥 부족 세력이 등장하며 입지를 다지기 시작한다. 걸그룹 귀퉁이로 솔로군단에는 ‘효리제국’(이효리)과 ‘아이비국’(아이비)이 있으며 ‘브아족’(브라운아이드걸즈)과 ‘카라족’(카라)도 태동하기 시작한다.

원걸국 제국의 건국과 천하제패= ‘새로운 무기를 앞세운 원걸족이 걸대륙을 평정하고 구대륙, 신대륙 진출’이라는 설명과 함께 원걸제국이 거의 모든 제국을 차지하고 소시국은 옆으로 밀려난 것을 볼 수 있다.

소시제국의 궐기= ‘원걸 제국의 무리한 영토확장으로 인한 세력약화, 소시국의 제국의 틀 확립’이라는 설명과 움츠렸던 소시국이 영역을 넓혀갔다. 또한 본토보다 신대륙에서 넓은 땅을 확보했다. 원걸제국에서는 포미족(포미닛)이 새로 생겨나고 위태했던 카라국도 조금씩 세력을 넓히며 카라제국으로 발돋움한다.

걸그룹 군웅천하= 소시제국이 걸대륙과 신대륙에서 우세에 있지만 카라제국과 21제국(2NE1)이 원걸제국의 영역을 빼앗고 신대륙으로 간 것이 보인다. 또한 늘 소국으로만 있었던 포미국과 브아국, 앱터국(애프터스쿨)도 점점 걸대륙에서 무시할 수 없는 영역을 차지한다.

걸그룹 열국시대= 소시와 카라 그리고 21제국이 팽팽한 위치에 서 있는 가운데 수 많은 부족과 제국들이 생겨나며 원걸제국의 영역을 차지한다. 원걸제국은 걸대륙에서 점점 밀려나 몰락을 하게 된다. 솔로군도에서는 가장 강했던 ‘효리제국’이 신생 아이유국(아이유)에게 점점 밀려나 있다. 특이한 점은 브아국이 영토가 줄었지만 솔로군도의 나르샤공국이 생기며 새 활로를 구축했다.

이 지도를 보고 누리꾼들은 “이걸 만든 사람 정말 대단하다”“삼국지와 맞먹는다”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2011년 1월 9일 일요일

공짜·반값… 달콤한 유혹 소셜커머스 사기 주의보

A씨는 이달 초 '소셜커머스'(트위터나 페이스북 등을 통한 전자상거래) 사이트에서 스키장 심야 시즌권을 공동구매했다. 그러나 다음 날 아내가 임신한 사실을 알고 구매를 취소하려 했지만 취소할 수 없다는 답변을 들었다. B사이트는 평소 가격이 5만원대인 서울 강남역 인근 이탈리아 레스토랑의 코스요리를 7만원대라고 속이고 반값 할인한다며 3만5000원에 판매하다 적발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소셜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부실한 서비스, 환불과 사용기간 제한, 영세업체의 부도 또는 사기 등에 노출될 위험이 높다며 28일 소비자피해주의보를 발령했다.

공정위에 따르면 미용실이나 고급 레스토랑의 반값 할인쿠폰을 구매했지만 소비자들이 너무 많이 몰려 예약조차 할 수 없거나 광고 내용과 전혀 다른 질 나쁜 서비스가 제공되기도 했다. 또 구매신청 기간(통상 하루 내지 이틀)이 지나면 청약철회가 인정되지 않았다. 이와 함께 할인쿠폰의 사용기한을 제대로 고지하지 않거나 명품가방 등을 90%나 할인해준다는 사기광고 등의 피해도 잇따르고 있다고 공정위는 덧붙였다.

공정위는 이에 따라 소셜커머스 업체를 이용할 때는 믿을 수 있는 사업자인지 신원정보를 확인하고 고객센터·상담전화 등이 잘 운영되는지, 환불 및 사용기한 명시 여부 등을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2011년 1월 8일 토요일

주차장에서 무선으로 충전되는 전기자동차


(라스베이거스=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 이커플드사가 6-9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고 있는 'CES 2011'에서 전기자동차가 주차장 바닥을 통해 무선으로 충전되는 기술을 시연하고 있다. 2011.1.8

3G에서도 무료 영상통화로 만나요

스카이프(www.skype.co.kr)는 iOS 4.0를 사용하는 아이폰에서 3G 및 와이파이(WiFi)를 이용해 무료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아이폰용 스카이프 영상통화’ 앱을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에 출시했다고 옥션 스카이프가 30일 밝혔다.
아이폰용 스카이프 앱은 가입자 간 무료 통화에 이어 무료 영상통화까지 서비스를 확대하게 되었다. 출시된 버전은 아이폰과 아이팟터치4세대에서도 무료로 영상통화 발신 및 수신이 가능하며 아이패드와 아이팟터치3세대는 영상통화 수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전세계 스카이프에 로그인 되어 있는 2,500만의 동시 접속자와 통화가 가능해졌으며, 전세계 어디에 있든지 스카이프 앱만 사용하면 영상통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닐 스티븐스(Neil Stevens) 스카이프 컨슈머 비즈니스 본부장은 “스카이프 영상통화(PC+웹캠이용)는 2010년 상반기 동안 스카이프 무료통화의 약 40%를 차지할 만큼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고객들은 PC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모바일에서도 영상통화를 이용하길 원했다”고 개발 취지를 밝혔다. 또한, “스카이프 영상통화를 집이나 직장의 데스크 탑과 모바일 그리고 TV로 가지고 옴으로써, 스카이프는 전세계 수많은 사람들이 영상통화로 중요한 순간을 나눌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옥션 스카이프 배동철 상무는 “이 영상통화 앱은 스마트폰, 태블릿PC, 노트북, 일반 PC까지 영상통화가 상호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의 영상통화와는 차별이 된다”고 설명하며, “영상통화 활용범위가 기존보다 획기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새로운 아이폰용 스카이프 앱은 iOS 4.0 이상 버전에서 사용가능하며 아이폰4, 아이폰3GS, 아이팟터치4세대에서 이용할 수 있다. 카메라 기능이 없는 아이패드와 아이팟터치3세대는 영상통화 수신만 가능하다. PC와 영상통화를 할 경우, PC에 설치된 스카이프는 윈도우용 스카이프 4.2 버전 이상, 맥용 스카이프 2.8 이상이어야 하며 리눅스용 스카이프가 설치된 PC도 가능하다. 아수스 비디오폰도 아이폰과 영상통화가 가능하다.
아이폰용 스카이프 영상통화 앱은 애플 앱 스토어(App Store)에서 ‘skype’를 검색한 후 무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2011년 1월 4일 화요일

토렌트파일을 불러올수없음 : Invanlid torrent file! 에러가 날때?

토렌트파일을 불러올수없음 : Invanlid torrent file! 에러가 날때?
자료실 게시판에 토렌트파일을 첨부할때 잘못업로드되거나
애당초 파일이 깨진 경우입니다
대다수가 첨부파일등록시 잘못된 경우이니
해당게시물은 신고해주시거나 올린이가 수정을 해야 합니다

윈도우7에서 토렌트 실행중 램사용량 관련하여

윈7에서 토렌트를 사용중입니다. 토렌트를 한동안 사용안하다가

몇일전부터 사용하게 되었는데.. 컴퓨터 램 사용량이 엄청 치솟더라구요

토렌트영향이라고는 생각치 못하고 바이러스검사외에 많은 검색을 통해서

알아본바 토렌트 설정중에서 하나만 바꺼주면 치솟던 램사용량이 안정되더군요

출처는 인터넷 검색하여서 알게되었지만, 혹시라도 정보가 필요하실분이 계실거

같아서 글 남겨봅니다.

토렌트 --> 옵션 --> 설정 --> 좌측하단에 고급설정 --> 디스크캐시 -->

우측화면 맨아래 보시면 "윈도우즈의 디스크 읽기 캐시 비활성(0)" 이 글앞에

체크를 해주시면 윈7에서 토렌트로 인한 치솟던 램사용량이 안정화되더군요.

필요하신분들께는 좋은 정보가 되시길 바라며 이만^^

여러개의 파일을 묶어서 업로드 하는방법

자료 업로드를 할때 여러개의 파일을 묶어서 업로드 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 해보려고 합니다

아는분들이 거의 대다수겠지만 잘 모르는 분들이 가끔 보이는거 같아서 써봅니다

스크롤의 압박이 좀 있을겁니다 ^^;

보시다시피 영상과 자막파일을 합쳐서 총 6개의 파일인데 이것들을 묶어서 업로드를 할려면

폴더를 하나 만들어서 6개의 파일들을 모두 집어넣은 다음 토렌트파일을 생성시켜서 업로드를 하면 되겠습니다

공백란에 마우스를 올려놓고 우클릭을 하면 위와같은 창이 뜨는데 여기서 새폴더를 눌러줍니다

독수리라는 새폴더가 하나 뜨는군요 그럼 6개의 파일을 독수리라는 폴더에 모두 집어넣어 볼까요?.

폴더에 집어넣을 6개의 파일들을 키보드의 컨트롤이나 시프트키를 눌러준 상태에서 하나씩 클릭해주면

그림과 같이 파란색으로 활성화가 됩니다

그다음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복사를 눌러줍니다 키보드컨트롤키를 눌러준상태에서 C 를 눌러도 복사가 됩니다


그 다음 독수리 폴더를 더블클릭해서 들어간 다음 공백란에 마우스 우클릭 붙여넣기를 눌러주면 그림과 같이

독수리 폴더로 복사한 6개의 파일이 저장 됩니다  키보드 컨트롤키를 누른상태에서 V 를 눌러줘도 저장이 됩니다

이제 독수리폴더로 6개의 파일이 모두 저장되었으면 토렌트파일명으로 사용될 독수리폴더의 이름을 바꿔줍니다 

왠만하면 토렌트파일명은 릴명이 기제된 영화파일명을 그대로 써주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굿윌헌팅이 아니라 굿윌헌팅.Good.Will.Hunting.1997.XviD.DTS.WAF 이렇게 말이죠

게시물의 제목도 마찬가지로 릴명을 그대로 기제해주는게 좋겠습니다

폴더명을 바꿀때는 파일의 이름을 그대로 복사해서 토렌트파일명으로 사용될 폴더에 붙여넣기를 해주면 편합니다

파일을 클릭한다음 우클릭  이름 바꾸기를 눌러줍니다


이름 바꾸기를 눌러주면 그림과 같이 파일명을 바꿀수 있는 상태가 되는데 여기서 파일명을 복사할수 있습니다

마우스 우클릭 복사를 눌러준다음 독수리 폴더로 나옵니다

여기서 저는 영어명앞에 굿윌헌팅이라는 한글명을 적어주고 뒤에 첫번째 파일이라고 표시된 CD1- 을 지웠습니다

저폴더에는 CD1 만 들어있는게 아니라 6개의 파일이 모두 들어있으니까요 

자~!  이제 토렌트파일을 만들기 위한 준비작업이 끝났습니다  이제  토렌트파일을 만들어 봅시다


새 토런트 만들기라는 새창이 뜨는데 맨 상단에 있는 내용선택에 본인이 업로드할 폴더를 제대로 선택했는지

확인을 한번 하시구요 파일을 업로드하기 위해서는 트래커주소가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입력을 해줍니다

트래커 주소는 이용안내게시판에 가보시면 상단공지글에 있으니 대여섯개정도 복사해서 붙여넣기 하시면 됩니다

주의할점은 저렇게 한줄씩 띄워서 입력을 해야 트래커가 작동한다고 합니다

트래커가 정확히 어떤 작용을 하는지는 저도 잘 모릅니다  궁금하신분은 검색을 ㅡ_ㅡ;;;

트래커 입력이 끝났으면 배포시작에 채크가 되어 있는지 확인하십시요 배포시작에 채크가 안되어 있으면

배포가 안된다고 하네요 거기까지 채크가 끝났으면 생성 및 저장을 눌러줍니다

이제 요렇게 생긴  토렌트 파일을 게시글과 함께 업로드하면 완료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S  좀더 편리한 방법이 있으면 댓글 주십시요 수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토렌트활용팁)토런트 다운로드 막대 활용하기

* 별건 없고 대부분 분들이 잘 모르시는 간단한 기능 하나를 알려 드리고자 합니다.
- 현재 공유 중인 리스트 중에 막대를 보고자 하는 리스트를 선택해서 마우스 우측 버튼을 클릭합니다.
- 서브 메뉴가 뜨면 고급 - 다운로드 막대 보기를 선택합니다
- 다운로드 막대 바를 없애고 싶으시면 마우스 우측 버튼 - 닫기를 클릭 하시면 됩니다.

비트토렌트)Ipfilter 설치 과정과 거부된 연결 기록보기 설정법

여타 ipfilter 데이터들도 많지만 이 파일은 따로 데이터를
구하지 않아도 가끔씩 실행만 해주면 ipfilter 데이터 자체를
업데이트 해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xp의 숨겨진 기능들

'윈도우XP'의 숨겨진 기능
1. 여러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자
윈도우즈 XP는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한꺼번에 바꾸는 재주가 있다. 파일 형식이 서로 달라도 같은 이름을 붙일 수 있다.
이름을 바꿀 파일을 모두 고르고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누른 다음 ‘이름 바꾸기’를 고른다.
윈 도우즈 XP에서 여러 개의 파일 이름을 바꿀 때는 첫 번째 파일에 이름만 쓴다. 예를 들어 ‘PC사랑’이라고 하면 첫 번째 파일은 ‘PC사랑’이 되고 나머지 파일들은 ‘PC사랑 (1)’ ‘PC사랑 (2)’ 등으로 바뀐다. 만약 첫 번째 파일 이름을 ‘PC사랑 (10)’이라고 하면 그 다음부터는 ‘PC사랑 (11)’ ‘PC사랑 (12)’이 된다.
 
새 이름을 쓰고 엔터 키를 누른 다음 이름을 바꾼 파일 다음에 있는 것들은 새 이름 뒤에 1부터 숫자가 붙는다.

2. 갑자기 재 부팅 되는 윈도우즈 XP 때려잡기
윈 도우즈 XP는 너무 민감한(?) 나머지 프로그램에 조그만 오류가 생기면 저절로 재 부팅 된다. 물론 그 오류가 심각할 때도 있지만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데도 PC를 재 부팅해서 이용자를 귀찮게 한다.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어도 시스템이 재 부팅 되지 않게 해보자.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시스템 등록정보’ 창의 ‘고급’ 탭에서 ‘시작 및 복구’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오류’ 칸에 있는 ‘자동으로 다시 시작’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download.asp?FileID=4958638이제 윈도우즈 XP가 제멋대로 꺼지지 않는다.
새 이름을 쓰고 엔터 키를 누른 다음 이름을 바꾼 파일 다음에 있는 것들은 새 이름 뒤에 1부터 숫자가 붙는다.

2. 갑자기 재 부팅 되는 윈도우즈 XP 때려잡기
윈 도우즈 XP는 너무 민감한(?) 나머지 프로그램에 조그만 오류가 생기면 저절로 재 부팅 된다. 물론 그 오류가 심각할 때도 있지만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데도 PC를 재 부팅해서 이용자를 귀찮게 한다.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어도 시스템이 재 부팅 되지 않게 해보자.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시스템 등록정보’ 창의 ‘고급’ 탭에서 ‘시작 및 복구’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오류’ 칸에 있는 ‘자동으로 다시 시작’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download.asp?FileID=4958638이제 윈도우즈 XP가 제멋대로 꺼지지 않는다.
2. 갑자기 재 부팅 되는 윈도우즈 XP 때려잡기윈 도우즈 XP는 너무 민감한(?) 나머지 프로그램에 조그만 오류가 생기면 저절로 재 부팅 된다. 물론 그 오류가 심각할 때도 있지만 별 문제가 되지 않는 데도 PC를 재 부팅해서 이용자를 귀찮게 한다. 프로그램에 오류가 있어도 시스템이 재 부팅 되지 않게 해보자.
바탕화면의 ‘내 컴퓨터’ 아이콘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누르고 ‘속성’을 고른 다음 ‘시스템 등록정보’ 창의 ‘고급’ 탭에서 ‘시작 및 복구’ 칸의 ‘설정’ 버튼을 누른다.
‘시스템 오류’ 칸에 있는 ‘자동으로 다시 시작’의 체크 표시를 없애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3. 오류 보고 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윈도우즈 XP부터는 프로그램들이 에러를 일으켰을 때 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마이크로소프트사로 보고한다. 이런 오류를 매번 보고하는 것도 지겹고, 보고해도 해결되지 않으므로 오류 보고 창이 뜨지 않게 해보자.
시 작 → 제어판 → 성능 및 유지 관리 → 시스템으로 간 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뜨면 ‘고급’ 탭에서 아래에 있는 ‘오류 보고’ 단추를 누른다. 오류 보고 대화 상자에서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4. 성인광고 나가 있어~
성 인광고 사이트도 아닌데 자꾸 성인광고가 뜬다. 한두 개 정도야 바로 닫아버리면 그만이지만 여러 개의 창이 마구 쏟아져 나오면 윈도우즈 XP가 먹통이 되기도 한다. 성인광고를 막아주는 프로그램이 있지만, 괜히 하드디스크 용량만 차지하므로 윈도우즈 XP 자체에서 해결하자.
인터넷 익스플로러 메뉴에서 도구 → 인터넷 옵션을 고른 다음 ‘일반’ 탭의 임시 인터넷 파일 항목에 있는 ‘설정’ 단추를 누른다. ‘설정’ 창이 뜨면 ‘개체보기’를 누른다.
탐색기가 뜨면서 파일 이름이 나온다. 이 중에서 sender control이라는 파일을 찾아서 지우면 성인광고 사이트가 뜨지 않는다.

3. 오류 보고 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윈도우즈 XP부터는 프로그램들이 에러를 일으켰을 때 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을 마이크로소프트사로 보고한다. 이런 오류를 매번 보고하는 것도 지겹고, 보고해도 해결되지 않으므로 오류 보고 창이 뜨지 않게 해보자.
시 작 → 제어판 → 성능 및 유지 관리 → 시스템으로 간 뒤 시스템 등록정보 창이 뜨면 ‘고급’ 탭에서 아래에 있는 ‘오류 보고’ 단추를 누른다. 오류 보고 대화 상자에서 ‘오류 보고 사용 안 함’을 고르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구글 광고가 싫을 때 사라지게하자!!

구글애드센스는 여러 사이트에서 광고수익을 위해 게시를 하는데요,
때로는 그런 광고가 거슬리는 경우도 종종있습니다.

심한경우 광고를 위한 사이트인지, 정보를 위한 사이트인지 구분이 안가는 경우도
비일비재합니다.

사이트의 내용도 좋지만 이건뭐 완전 광고로 도배한 블로그나 개인 사이트를 보면
정보고 뭐고 그냥 닫아버리자니 아깝고 ㅎㅎ 그럴 때 아래와 같이 해보세요!!

해결 방법은 간단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따라하세요^^


1. 인터넷 옵션을 열어서 "보안" 탭의 "제한된 사이트" 클릭!
2. 제한된 사이트를 클릭하고, 사이트 메뉴 클릭!
3. "영역에 웹 사이트 추가" 공란에 아래 주소 2개를 입력합니다.
* 예전에는 하나였는데, 사용자들이 광고 차단을 많이 하는지 주소가 하나 늘어났더군요 ^^;

* 아래 주소 복사해서 쓰세요~!!
pagead2.googlesyndication.com
googleads.g.doubleclick.net

이렇게 2개를 입력하고 닫은 다음에 새로고침을 하면 신경 거슬리던 구글 광고는 싹 없어집니다^^
이제 편하게 인터넷하세요~^^

ps. 암만 보기 싫어도 랜파일의 유익성을 감안해서 랜파일의 구글광고는 많이 클릭해 주셔야겠지요???!!!

여러 아이피로 한 사이트에 로그인 (멀티 IP, 다중접속)

다른 트래커에 가입하다 보니, 운영 방식이 다른 사항이 있어서 추가로 적습니다.

모든 트래커에 똑같이 해당하는 글이 아니고, 각각의 특징을 기술한 것입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그 트래커 포럼에 올라온 질문 글을 보셔서 운영방식을 확인하시거나,
직접 그 트래커 관리자한테 문의를 해서 허용하는 범위를 꼭 알고 난뒤에 하시는게 좋습니다.

잘못하면, 다음날 아이디 삭제되서, 접속도 안되고, 영어도 약하다면 어디가서 하소연도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각 트래커 방식에 따라, 또는 운영 방식에 따라 다 기준이 다릅니다.
트래커가 개방적인지, 폐쇄적인지에 따라, 동시접속, IP 허용 갯수가 틀립니다.



여러 아이피로 한 사이트에 로그인하면 어떻게 되는가?


1. 멀티 IP가 안되는, IP 인증 방식의 경우 (기존 작성글)


1. 먼저, 자신이 가입한 토렌트 웹사이트에 자신의 아이디로 로그인하면, 그 즉시 그 IP가 tracker에
기록이 됩니다. 모든 유저가 여기저기 다른 컴퓨터에서 로그인 할 수 있는 상황이 있기 때문에,
아이디/패스로 로그인했던, 그 IP가 인증 기준이 되는 것이죠.
다른 컴퓨터에서 토렌트 프로그램 돌리면, 먼저 웹사이트 가서 로그인 먼저 하라는 메시지가 뜨지요.
이전에 기록되었던 IP가 아니니까, 새로운 IP 인증을 받기 위해서 로그인 하라는 것이지요.


2. 그 다음 해당 토렌트 파일을 클릭하여 다운로드 한 뒤, 토렌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서 다운로드를 걸면,
받은 토렌트 파일 헤더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트래커 정보, 트래커 패스키, 생성날짜]와
[토렌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돌아가는 컴퓨터의 IP + 아까 로그인했던 웹 사이트에 접속했던 마지막 인증 IP]
를 서로 매칭시킵니다.

이 모든게 일치하면 비로소 업/다운이 시작됩니다.
이렇게 매칭이 되면, IP만 가지고도 그 IP를 쓰는 유저가 누구인지 바로 알 수 있겠지요?


3. 그 후, tracker log에는 해당 IP address 정보만 가지고, 어떤 유저가 언제 다운로드 했는지?
업/다운 얼마했는지? 토렌트 파일 삭제는 언제 했는지? 등등이 시간 간격을 두고,
Tracker에 계속.. 꾸준히.. 기록으로 남습니다.
이걸 웹사이트에 뿌려주면, 각 유저는 자신의 Ratio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것이죠.


4. 추가
IP 인증 방식에서의 멀티플 IP(동시접속)가 허용된 트래커에서의 사용 방법 (예. 트래커 FileMP3.org).

Multiple IPs (Can I login from different computers?)

A torrent is associated with the user when it starts, and only at that moment is the IP relevant.
So if you want to seed/leech from computer A and computer B with the same account you should access
the site from computer A, start the torrent there, and then repeat both steps from computer B
(not limited to two computers or to a single torrent on each, this is just the simplest example).
You do not need to login again when closing the torrent.


-멀티플 IP (다른 컴퓨터에서도 로그인 할 수 있는가?)

토렌트는 사용자가 켜는 그 시점과 관련이 있고, 그 때만 IP와 관련이 있습니다.
같은 계정으로 컴퓨터 A와 B에서 Seed/Leech를 하고 싶다면,
A 컴퓨터에서 먼저 해당 트래커 사이트에 로그인을 하고, 토렌트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똑같은 방법으로 B 컴퓨터에서도 트래커 사이트 로그인 한 후, 토렌트 프로그램을 시작합니다.
(두 대 컴퓨터 혹은 각 한개 토렌트만 되는게 아닙니다. 이건 그냥 간단히 예를 든겁니다.)
토렌트 프로그램을 끌때까지는 다시 로그인 할 필요가 없습니다.


컴퓨터는 바뀌어도 상관 없습니다. 컴퓨터가 바뀌어도, 트래커는 바뀐 마지막 한 개의 IP만 받아서 인증하기에....
토렌트 파일 자체에는 Ratio 정보는 없습니다.
해당 트래커의 고유한 정보, 전체 파일 정보(파일 이름, 전체 용량, 갯수 등등)만 담고 있습니다.
Ratio는 오로지 트래커(서버)에 생성된 로그에만 순차적으로 기록이 됩니다.
토렌트 프로그램이 하는 일은 그저 업/다운, IP 인증, 패스키 매칭 검사만 합니다.







2. 멀티 IP(다중 접속)가 되는 운영 방식의 경우(추가 글)

어느 트래커는 멀티 IP(다중접속)이 됩니다.
IP 인증방식이 아니라, 패스키로만 인증하고, 서버에 접속 IP 로그는 남지만, 공개적으로 다중접속을 허용합니다.

예를 들어, TorrentBytes의 경우
한 개의 계정당 3개 IP가 동시접속 허용이 됩니다.

즉, 한 개의 파일이 3대의 컴퓨터에 똑같이 있을 경우, 3대에서 동시에 시딩(업로드)가 되고,
또한 3대의 업로드 레이쇼가 합쳐져서 올라갑니다.



TorrentBytes에 올라온 비슷한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If you have the same files on both computers (eg by copying them from one to another),
you can seed from both locations, and get a combined higher upload rate,
which leads to a higher amount of uploaded data."
- 양쪽 컴퓨터에 같은 파일이 있다면(다른 컴퓨터에 복사를 했을 경우),
양쪽에서 시딩을 같이 할 수 있고, 업로드 많이 할수록, 업로드 비율도 합쳐져 올라간다. -



하지만, 다른 글에서는 동일 파일을 여러 컴퓨터에서 반복적으로 자주 받는 건 위험하다고 되어 있습니다.
한 아이디를 여러 사람이 쓰고 있다는 근거가 되버리기 때문에...

다운로드는 될 수 있으면 한번만! 시딩할때는 다른 컴퓨터로 파일을 다 복사해 놓고, 동시 시딩해야 합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한개의 파일을 여러 대로 동시에 씨딩 하는것 보다,
팩 같이 용량이 수십 기가 되는 큰 것들은, 지정된 컴퓨터에서만 받은 뒤, 그 컴퓨터로는 그 파일들만
계속 씨딩하게끔 해서, Ratio UP 전용 SeedBox로 만들어 놓는게 가장 좋을거 같습니다.



또한, 다른데서(뉴스그룹, FTP, 타 트래커) 받은 파일로 시딩(업로드)를 해도 되냐는
약간 위험한 질문이 있었습니다.
대답은 된다! 라고 되어 있었습니다.

트래커가 개방적이기도 하지만, 업로더의 회선이 안좋기 때문에, 초기에 시더가 1명이라
배포에 어려움이 있다는 말 이었습니다.

실제로, TorrentBytes 일부 파일(pack)의 경우. 올라온지 몇 시간이 지났는데도,
시더(업로더) 회선이 너무 느려서, 시더는 고작 1명인데, 리처는 40~50명 달라붙어서
아주 힘들게 다운 받고 있었습니다. 물론, 회원이 많기 때문에 당연하겠지요.
초기 배포에 따른 어려움이 있기에, 수 십개의 파일로 구성된 Pack의 경우에,
자기가 일부 파일을 가지고 있을 경우, 그 파일 조각들로 초기 배포에 참여를 하라고 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다른 트래커에서라도 허용을 하면 좋겠지만, 폐쇄적이거나, 회원이 적은 트래커는
보안과 초대장 교환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대놓고 허용은 안하고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지정된 업로더로써는 하루에도 수 십개 파일 올리고, 업로더는 Ratio 영향을 전혀 안받기에,
그냥 빨리 빨리 초기 배포 해버리고, 회원끼리 알아서 받아가게 해놓고, 다른 파일 또 배포하는데 더 좋겠죠.





3. 왜 불편하게 멀티 IP(다중접속)를 허용 안하는가?

그 트래커를 쓰는 일반 유저로써는 정말 편합니다. 집과 회사, 학교 등등 여러곳에서 맘대로 켜놓고 있을 수 있죠.
"원격접속"으로 회사 컴퓨터 화면 접속해서 게임/음악/팩 같은 큰 파일 다운로드 하고 시딩 걸어놓고,
집에서는 편하게 지금 볼 영화/드라마 파일만 받아서 보다가, 토렌트 잠시 끄고, 가끔 온라인 게임도 해도 되니까요.

다른 곳(회사, 학교 등등) 비싼 전기세 내가 안내고 24시간 돌릴 수 있는 컴퓨터(seedbox, bot)가 있다면,
Ratio는 이제 걱정 안해도 되겠죠.

하지만, 멀티 IP를 허용하면, 한 개의 계정으로 여러 사람이 돌려서 쓸 수 있습니다.

아이디 단 한개로, 갑돌이, 갑순이, 철수, 영희 심지어 바둑이까지 다 쓸 수 있다는 말입니다.
전체 회원이 1,000명이라고 하면, 실제 사용자는 3,000명이 충분히 넘어갈 수 있다는 말이죠.

이는 아주 위험하고, 트래커 전체로써도 Ratio가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난 아이디 안돌릴테니까, 나는 다중접속 허용 해달라~ 해도, 운영자로써는 그 수 천명 회원들
일일이 신경쓰기 싫으니 그냥 "다 안돼" 하겠죠. 제가 운영자라고 해도 그렇게 할 겁니다.

그래서, 일부 트래커들은 멀티 IP를 허용 안하고, 1개의 계정으로, 단 1대의 PC 접속만 허용합니다.


글이 좀 길고, 어려울 수 있겠습니다만, 토렌트라는 프로그램이 좀 까다롭고 알아야 할게 많습니다.
시간날때 읽어보시고, 다른 의견이 있거나, 추가 사항 있으면 추가 하겠습니다.

내 아이폰에서 uTorrent를 제어해보자!!

(이 글은 uTorrent portable을 사용중이신 분들을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 준비물 ]
1. 진리의 iPhone (순정, 탈옥 상관 없습니다. 전 순정 v3.1.2 입니다).

2. webUI.zip

: uTorrent - 설정 - 웹UI - Web UI 활성화 탭을 누르시고 접속하실 아이디와 비번, 포트를 설정합니다.

이 설정이 완료되고 저장을 누르시면 webUI.zip이 uTorrent portable이 위치한 폴더에 자동 생성됩니다.


최신 버전의 WebUI.zip 파일은 여기 서 구하시면 되겠습니다 :

pc로 원격 제어하실 분은 요기 (v0.370, uTorrent 2.0이상)

아이폰으로 원격제어 하실분은 요기 (v0.362, uTorrent 2.0 미만)


3. uTorrent Web UI for iPhone

uTorrent를 PC에 설치하신 분은 이 곳에서 다운로드

uTorrent portable로 사용중이신 분은 이 곳에서 다운로드


[ 실행방법 ]


** 공통 주의사항 **

webUI를 사용하므로 어려운 아이디와 강력한 비밀번호를 사용하시고,

포트도 자주 사용하거나 쉬운 (ex.:8080) 포트를 사용하지 마실 것을 권고드립니다.



1. uTorrent를 PC에 설치하신 분이 글타래 를 참조, 설치하세요. (참 쉽죠?)



2. uTorrent Portable을 사용중이신 분들은.. 위 링크의 글타래 대로(설치버전을 설치, 실행) 하시면


"The Web UI option for uTorrent is not enabled for current user"


라는 경고문이 나타나고, 사파리를 통해 접속해도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이 때, 다음 과정을 따릅니다.


ㄱ. 이 글타래를 참조, webUI 설정까지 완료하세요.


ㄴ. 위 준비물 2에서 다운받아 놓으신 webUI.zip을 utorrent portable이 위치한(=각종 *.dat가 위치해있는) 폴더에 붙여넣습니다. 당연히 경고문이 뜹니다. 이 때, '덮어쓰기'를 선택해 주시면 되겠습니다.


ㄷ. 준비물 3에서 다운받아 놓으신 iPhoneWebUI(1.5).zip의 압축을 풀어줍니다. 압축 해제를 하시면 "mobile" 폴더와 iphone.html.gz라는 압축파일이 생성됩니다.

mobile 폴더iphone.html.gz드래그해서 ㄴ의 webUI.zip에 넣어줍니다.


ㄹ. 컴퓨터의 ip를 확인합니다.
(확인방법 : 윈도우키+R - cmd - ipconfig 입력;;;;;;)

이것으로 준비 끝!!!!!





[ 아이폰에서 실행 ]


1. 사파리를 열고, 주소창에 ㄹ에서 확인한 컴퓨터의 아이피, 포트명/gui/iphone.html 을 입력합니다.
(예 : ip가 000.000.000.000이고, web UI에서 포트를 8080으로 설정했을 경우,
http://000.000.000.000:8080/gui/iphone.html 라고 입력합니다.



2. 접속이 완료되면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하는 창이 나타납니다. 이 때, 미리 설정한 아이디와 비번을 입력해 줍니다.


3. 접속이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현재 uTorrent의 상태가 표시됩니다.


각 라벨 별로도 표시가 되니, 관리에도 용이합니다.


4. 여기에서 기뻐하지 마시고, 브라우저 하단의 +를 눌러 "홈 화면에 추가"를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와 같이 아이콘이 추가됩니다...  이 다음부터는 아이콘을 눌러서 ㄱㄱㄱ~~~



덧. 기본 webUI를 이용해 사파리로 접속, 관리하셔도 됩니다만, 홈 화면에서 바로 가기를 선택하여 '빠른 관리'를 할 수 있다는 점과, '깔끔한 인터페이스'가 차이점이 되겠습니다.

토렌트 디스크 캐쉬설정과 과부하

아무래도 디스크 캐쉬설정에 대한 부분은 의견이 분분한지라 이글을 쓰기가 좀꺼려지기는 했지만
용기내서 쓰는거니 제가 포스팅한 부분에서 틀린부분이라던가 수정할 부분있다면 말씀해주시길 바랍니다.
그럼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토렌트를 사용하다보면 몇번쯤은 다들 과부하를 경험해보셨을껍니다.
토렌트는 다운로드를 시작하면 먼저 하드에다가 공간을 할당하게 됩니다. 그런데 대용량파일의 경우 그 시간이 꽤 오래 걸리죠. 따라서 초반 1-2% 정도는 속도가 거의 안나오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과거에 1.8.1베타이전에 대용량 파일을 받을때 다운받는듯하다가 모든 업다운이 잠시 멈추는 현상이 있었습니다. 디스크에 파일을 할당하고 공간을 초기화 시키는 과정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였죠. 초기화 과정까지 모두 완료되야 정상업다운이 이루어지고 레이쇼에 영향을 끼치기도 하였습니다
. 이 과부하를 해결하기 위해 처음으로 나왔던 방법은 예전에 Diskio.Sparse.Files 옵션을 켜주는 것이었습니다. 이 옵션은 전체 파일을 미리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받는 만큼만 부분적으로 할당하는 옵션입니다. 허나 이렇게 하면, 디스크 단편화가 많이 생기고, 파일이 쌓일 수록 하드디스크 소음이 증가하고, 속도도 감소시키는 문제를 필연적으로 불러왔습니다. 이후 나온 옵션이 Diskio.No.Zero 입니다. 이 옵션은 토렌트에서 다운 받기 시작할 때 필요한 공간을 미리 확보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다시 말해 다운 받기전 하드공간 전체파일위치에 '0'를 채워 놓는데 diskio.no_zero를 활성화 시키면, 하드에 자리만 잡아놓고, '0'채우는 작업을 하지 않습니다. 이 작업('0' 채우기)이 없어 지면서 하드디스크 과부하를 줄여주는 것입니다. 따라서 Diskio.Sparse.Files보다
전체 파일 공간을 미리 할당하지만 초기화하지 않기 때문에,심각한 단편화 문제도 해결하면서 동시에 대용량파일의 경우 초기에 디스크 과부하가 걸려서 속도가 나오지 않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졌습니다. 따라서 최근 설정은

16709560.png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한글 : 옵션 - 설정 - 고급설정 - diskio.no-zero : true
: 옵션 - 설정 - 고급설정 - diskio.Sparse.Files : false
영문 : option - preference - Advenced - diskio.no-zero : true
영문 : option - preference - Advenced - diskio.Sparse.Files : false
 최근에는 이 설정이 기본으로 위의 말대로 기본으로 설정되어있을겁니다. 안되어 있다면 위의 설정을 하도록합니다.
참고로 Diskio.No.Zero에 대한 것은 말이 많습니다. 파코즈에서 보통 단편화 방지나 하드의 수명을 위해선 true설정해 두는게 좋다고 하지만 RamDisk나 SSD등 메모리를 이용한 디스크방식에는 오히려 Diskio.No.Zero을 False로 사용하는게 더 좋다고 합니다. 제가 SSD가 아니라 미쳐 확인은 못해봤지만
구글링해보니 그런 정보도 있기에 참고하실 분들은 참고하시라고 적었습니다

2424.png 
"모든 파일을 미리 할당" 이라는것은 다운받을때 파일용량만큼 미리 하드공간을 차지한다는 뜻입니다. 즉 내가 2GB의 파일을 다운받는다면 내하드에 2GB의 공간을 미리 잡아놓으면서 다른 데이터가 씌여지는 것을 방지해 디스크의 단편화는 줄일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이 옵션을 켜놓으면 저용량파일이라면 상관없지만 대용량파일 경우에 하드공간이 부족한지도 모르고 채우넣은 과정 디스크에 파일을 할당하느라 과부하가 자주 나타나며, 고속으로 여러 파일을 업/다운 시에도 나타납니다.
다음으로 디스크 캐쉬설정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디스크 캐시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메모리에 보관해서 하드 다스크의 사용을 줄여 줍니다. 기본적으로 토렌트가 자동 캐시 관리를 하지만 필요하면 직접 바꿀 수 있습니다.
즉 하드디스크에 부하를 메모리캐쉬로 줄여줍니다.
이것이 동작하고 있는것은 토렌트의 하단 속도탭의 디스크통계에서 보면 나옵니다.
24241.png 


다음 디스크 캐쉬 설정의 각 옵션마다 어떤 기능은 하는지 세부설명
24242.png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 본인은 비대칭유저이고 쓸모 없는 부분에 대해선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또 이 부분에 대한 설정은 서두에서 말씀드렸듯이 의견이 분분합니다. 위 이미지는 제가 한 설정이고 절대적이지 않음을 알려드립니다. 이 설정부분은 인터넷에 떠돌아 다니는 정보를 바탕으로 제 생각을 조금 첨부해 설명하겠습니다.


기본 캐시 설정(Basic Cache Settings)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자동 캐시 크기를 무시하고 직접 지정(Override automatic cache size and specify the size manually)"

: 일반적으로 토렌트는 다운로드 속도를 바탕으로 자동적으로 캐시를 조절합니다. 이 세팅을 하면 임의로 최대 메모리를 직접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단위는 MB/s 입니다.
대부분 이 부분은 자신의 램이 1기가 램이면 512로 2기가 이상의 램이라면 1024로 설정해서 사용하십니다.
전 4기가 램을 사용중이라 1024로 사용합니다. 1024이상의 수치는 무의미 하다고 생각합니다.

"캐시가 필요 없으면 메모리 사용을 줄임(Reduce memory usage when the cache is not needed)"
: 토렌트가 데이터 전송하지 않을 때 디스크 캐시의 사용되지 않는 부분을 제거합니다. 토런트가 배포시에 메모리를 많이 사용하고 메모리 점유율이 높다면 이 부분을 가장먼저 의심해봐야 합니다.
이 값을 끄면 자신의 램이 4기가라면 4기가램을 그대로 항상 사용합니다.
켜면 업/다운로드속도에따라 유동적으로 4기가램 한계내에서 움직이게됩니다.

상세 캐시 설정(Advanced Cache Settings)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디스크 쓰기 캐시 활성화(Enable caching of disk writes)"

: 토렌트는 디스크 기록 전에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디스크 캐시를 사용합니다. 이 옵션은 디스크 기록 빈도를 감소시켜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단 이부분은 디스크기록빈도를 생각한다면 사용을 메모리를 생각하면 사용안하는게 좋습니다. 자신의 메모리의 여유가 충분하다면 단편화문제에 있어서도 때문에 꺼두시는게 좋겠죠 그러니 메모리점유율, 하드디스크사용빈도 이 둘중에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에 맞게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매 2분마다 미사용 조각 쓰기(Write out untouched blocks every 2 minutes)"

:
사용하면 토렌트가 생성한 16KB의 메모리 블럭에 2분 이상 접근이 없을 경우 완성되지 않은 조각을 채우지 않고 기록합니다. 이 옵션은 토렌트의 메모리 점유율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디스크 기록 빈도는 증가합니다.

"조각이 완성되면 즉시 쓰기(Write out finished pieces immediately)"
: 사용하시면, 토렌트가 생성한 메모리 블럭에 조각이 완성되면 즉시 디시크에 기록합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이 옵션은 토렌트의 메모리 점유율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디스크 기록 빈도는 증가합니다.또한 언체크시 캐쉬가 쌓였을 때 많이 느려지게 됩니다.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디스크 읽기 캐시 활성화(Enable caching of disk reads)"

: 토렌트는 사용을 위해 디스크에서 읽은 데이터를 메모리에 디스크 캐시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재요청시 사용합니다. 이 옵션은 디스크 읽기 빈도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업로드 속도가 느리면 읽기 캐시 끔(Turn off read caching if the upload speed is slow)"

: 사용시, 업로드 속도가 40KB/s 미만이라면 읽기 캐시를 비활성화 합니다. 이 옵션은 토렌트의 메모리 점유율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디스크 읽기 빈도는 증가합니다. 대칭 사용하시는 부분에게는 그리 크게 해당되지 않습니다

"오래된 조각을 캐시에서 제거(Remove old blocks from the cache)
: 사용시, 다른 데이터를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해 디스크 읽기 캐쉬에서 10분동안 접근하지 않는 조각을 제거합니다. 이 옵션도 토렌트의 메모리 점유율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지만 디스크 읽기 빈도는 증가합니다

"캐시 한계가 오면 자동으로 캐시 크기 늘림(Increase automatic cache size when cache thrashing)"

: 사용 시, 디스크 읽기가 증가하면 디스크 캐시 메모리 사이즈를 증가시킵니다. 이 옵션은 대부분 업로드 속도가 빨리지면 과부하가 발생합니다. "자동 캐시 크기를 무시하고 직접 지정"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이 옵션은 필요하지만 직접 지정 1024이런 식으로 지정하셨다면 체크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윈도우즈의 디스크 쓰기 캐시 비활성(Disable Windows caching of disk writes)"
: 말그대로 윈도우의 본래의 디스크 쓰기 캐시를 비활성화 시킵니다. 이 옵션은 윈도우 디스크 캐시가 토런트 사용시 빨리 다운로드 하는 동안 메모리 소실이 클 때 도와줍니다. 왜냐하면 캐시가 토런트의 증가된 디스크 쓰기 속도를 견딜수 없기때문이라고 합니다. 메모리를 모두 사용했을때, 페이지 스왑핑이 일어나며, 그리고 감속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다른한편으로 이 옵션의 사용은 디스크 읽기 증가의 원인되기도하며 토렌트의 디스크 캐시가 가득찼을 때 전송율이 감소됩니다.
좀 광범위 하지만 요약하면 CPU의 메모리 관리방법 중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페이징의 경우 OS와 연동해서 스왑파일을 가상메모리에 포함하는데 여러가지 이유가 있지만 결론적으로 윈도우 캐시를 쓰지않고 토렌트의 캐시만을 사용하여 스왑파일을 사용하지 않기 위한 옵션입니다. 이 부분은 설명하자면 분량이 많습니다.아시는 분은 설명이 필요없을테고 모르시는 분은 대략 이해 하셨으리라 판단하고 생략합니다.

"윈도우즈의 디스크 읽기 캐시 비활성(Disable Windows caching of disk read)"


: 위의 기능과 비슷합니다 말그대로 윈도우의 본래의 디스크 읽기 캐시를 비활성화 시킵니다.
이 옵션은 윈도우 디스크 캐시가 토런트 사용시 빨리 업로드 하는 동안 메모리 소실이 클 때 도와줍니다. 왜냐하면 캐시가 토런트의 증가된 디스크 읽기 속도를 견딜수 없기때문입니다. 역시 메모리를 모두 사용했을때, 페이지 스왑핑이 일어나며, 그리고 감속의 원인이 될수 있습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 옵션의 활성화는 디스크 읽기 증가의 원인될 것이며 토렌트의 디스크 캐시가 가득찼을 때 전송율이 감소할 것입니다.보통 고속다운 때문에 쓰기 개쉬만 비활성화(체크)되어있는데 읽기 캐쉬는 대칭사용자분들이 10mb/s로 고속시딩을 지속하게 된다면 비활성화(체크)하는게 메모리 누수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64비트 OS사용하시는 분들 중에 고속시딩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메모리 사용이 증가하는 경우에는 이 부분은 체크해주시면 도움이 될겁니다.


몇가지 추가적으로 설명하자면
맨위에
"자동 캐시 크기를 무시하고 직접 지정(Override automatic cache size and specify the size manually)"과부하를 위해서라면 이 설정 해놓는게 좋아요. 토렌트는 네트워크에서 받은 파일을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해요.
대부분 토렌트 사용자분들은 대칭광랜이실텐데..이 부분은 아마 Uncheck되어있다면 기본설정으로 희미하게 32Mb일꺼에요. 이 옵션에서 직접 지정하지 않고 사용한다면 사용자께서 대칭광랜이라 가정하고 10MB/s속도로 받는다면 3초정도 미리 대략 30MB겠죠 즉 30MB정도를 미리 메모리에 임시로 저장하는거죠.. 계속 고속으로 다운하는데 30mb의 양만 미리 저장하면 아무래도 과부하가 걸리겠죠 토렌트는 캐시량을 초과하면 더이상 네트워크로 부터 자료를 받지 않는 상태가 되요. 그래서 이 옵셥을 고속다운시 좀더 과부하를 줄이기 위해 직접 수치를 설정해놓는 거예요.

그리고 수치를 높게 잡아놓았다고해서 다른 프로그램의 메모리양을 잡아 먹진 않아요.(고속다운시 빼고 말이죠)
그래서 1기가램이라면 512를(즉 초당 10mb로 다운받는다 치면 50초의 버퍼량을 500mb을 생각해 512) 2기가 이상의 사용자라면 1024이리 지정하는게 좋겠죠.
메모리여유가 충분하다면 캐시량을 높게 잡아주는게 초반속도끌어올리기에 도움이 되요.


그리고 마지막에 윈도우즈 쓰기캐쉬,읽기 캐쉬비활성화 옵션에 대해서 이 두 옵션에 잘못생각하시는분들이 계신데 쉽게 설명하자면
"윈도우즈의 디스크 쓰기 캐시 비활성(Disable Windows caching of disk writes)"는 대칭광랜의 사용자라면 고 속 다운을 위해서는 체크하는게 좋아요. 왜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메모리를 사용하고 토렌트를 사용하면서 메모리를 사용하잖아요 . 이 옵션은 사용하는 이유가(특히 고속다운시 급격히 증가된 토렌트로인해 디스크의 쓰기속도견딜수없어지는데) 토렌트 사용에 메모리를 집중한다는 뜻이에요. 고속다운시 토렌트에 사용하는 메모리 > 윈도우 사용하는 메모리 이렇게 토렌트에 사용하는 메모리가 급격하게 많아지겠죠. 즉 토렌트에 사용하는 메모리에 윈도우에 사용하는 메모리를 줄이고 좀더 토렌트에 집중하기위해서 이 옵션을 사용하는거예요

읽기 캐시 비활성화도 위의 쓰기캐시 비활성화와 마찬가지로 고속시딩(업로드)하려면 고속시딩에 좀더 집중하기 위해서 체크하는게 좋구요. 하지만 대부분 컴퓨터 하면서 다른 작업도 병행할텐데 그때는 체크해지 하는게 좋겠죠..
 
end 

uTorrent의 라벨(Label)을 활용하자 - 공백과 특수문자를 사용하기

가입한 트래커가 많아질수록(이라 쓰고 토런트에 중독되어 있을수록 이라 읽는다) 늘어나는 토런트를 효율적을 분류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집니다. 이에 uTorrent에서는 라벨(Label) 리스트와 라벨열(column:Label) 그리고 트래커열(column:Tracker)을 통해서 사용자의 편의를 돕고 있습니다.

이미 많은 비트토크 가족들이 잘 활용하고 계시겠지만 토런트에 익숙하지 못한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제 나름의 라벨 활용방법을 올려봅니다. 고수분들의 더 유용한 라벨 사용법이 많이 올라왔으면 좋겠습니다..

11hr1.png 11hr2.png
우측 파란 상자 안이 라벨리스트, 상단 빨간 상자 안이 라벨열과 트래커열입니다. 라벨리스트는 기본적으로 보이지만 라벨열과 트래커열의 경우 안보일 경우 "열"위에서 우클릭 후 활성화 하시면 됩니다.열의 순서는 드래그&드롭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우측 그림은 #Keeping라벨의 토런트를 트래커열로 정렬한 것입니다.)

1. 영구라벨과 임시라벨

uTorrent에서 사용하는 라벨에는 크게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사전 설정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영구라벨과 그때그때 지정하는 임시라벨입니다.

영구라벨은 해당라벨을 가진 토런트가 하나도 없어도 라벨명이 리스트에 표시됩니다. (옵션-설정-고급설정-사용자인터페이스(1.7.7)/UI 기타(1.8)에서 설정합니다.)

영구라벨 사용시 각 라벨의 구분자는 | 입니다. (입력방법 : Shift + \ )
11hr3.png
uTorrent 1.8의 설정모습입니다. 설정창에서의 순서는 실제 리스트에서 보여지는 순서와 상관이 없습니다. 순서에 대해서는 아래 4번 항목에서 언급합니다.

임시라벨은 해당라벨을 가진 토런트가 없으면 라벨이 리스트에서 사라집니다. (토런트 추가시 라벨명을 직접 입력하거나. 해당 토런트에서 우클릭 - 라벨 - 새라벨..로 설정합니다.)
11hr4.png
해당 토런트 우클릭 - 라벨 메뉴의 모습니다. 기존의 영구라벨을 선택할 수도, 새 라벨.. 을 통해서 임시라벨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라벨 제거를 할 수도 있습니다.(이 경우 라벨없음으로 지정됩니다.)

*상단 그림에서 라벨리스트안의 라벨은 모두 영구라벨입니다. (그림에서 영구라벨인 docu/Edu에 해당하는 토런트가 없음에도 리스트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방법1 - 트래커명으로 라벨하기
트래커가 독특한 시딩룰을 가지고 있거나 장기시딩을 하는 자료가 많은 경우에 트래커명으로 라벨을 만들면 관리하기가 편리합니다. 단 이런 경우 해당 트래커의 시딩 토런트수가 많아질수록 개별토런트를 찾고, 관리하는 것은 여러워집니다. 꼭 필요한 경우에만 적절히 사용하면 매우 유용합니다.

*첫째 그림에서 파란 밑줄이 쳐진 라벨이 바로 트래커명으로 지정된 것입니다. 토런트의 갯수는 많지만 대부분 장기시딩을 위한 것이기에 다른 토런트와 구분하기 위하여 트래커명으로 라벨을 지정하였습니다.


3. 방법2 - 자료 종류(성격)로 라벨하기

개인적을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자료의 종류(성격, Type)에 따라서 라벨을 하기때문에 자신이 원하는 자료를 찾기 쉽고, 트래커열을 통해서 트래커별로 재분류하여 관리도 가능합니다.

*첫째 그림에서 파란 밑줄을 제외한 라벨은 모두 자료의 성격에 따라서 라벨을 지정한 것입니다. 각자 편한 방법으로 지정하면 됩니다.


4. 공백과 특수문자 활용하기

본 팁 핵심은 바로 라벨을 만들때 공백과 특수문자를 활용하자는 것입니다. 위에서 언급한 트래커명 라벨, 자료 종류 라벨의 경우, 라벨의 수가 늘어날수록 찾기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럴 때 바로 라벨의 정렬순서를 이용하여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라벨이 상단에 오도록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으로 라벨리스트의 정렬순서는 " 공백-특수문자-영문대문자-영문소문자-한글가나다 "입니다. (공백 두칸은 공백 한칸에 우선합니다.)


**첫째 그림에서 [ !소 시]~ [ 손실] 까지는 라벨 앞에 공백이 한칸 있습니다. [!H ] ~[Etc] 까지는 공백이 없습니다. 공백이 있는 라벨명이 위로 온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수문자가 포함된 라벨명이 상위에, 한글라벨명보다는 영문라벨명이 상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백 : 정렬순서에서 볼 수 있듯 "공백"은 최우선 순위를 가지고 있기에 영구라벨명 앞에 공백을 추가하여 리스트에서 상위에 올라오게 할 수 있습니다. 단 토런트 추가시 지정하면 공백을 인식하지 않고서 라벨명이 지정됩니다. 일단 라벨없음 상태로 추가한 후에 라벨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특수문자 : 공백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가지는 특수문자는 정렬순서를 기억하고 있으면 됩니다. 키보드에서 바로 사용가능한 특수문자들의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 $ % & * + - / < = > ? @ [ \ ] ^ _ { } ~ 라벨명 앞에 특수문자를 추가할 경우 일반문자 라벨명보다 상위에 정렬됩니다.

결론적으로 공백을 통한 1차분류, 특수문자를 통한 2차분류, 일반문 자를 통한 3차분류를 통해 라벨명을 효율적을 분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영구/임시라벨, 트래커별/종류별라벨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니 개인적으로 상당히 만족하면서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별것 아닌 내용이지만 응용하여 자신만의 방법을 개발하신다면 늘어나는 토런트를 효율적을 관리하실 수 있을 겁니다.

ps. 특수문자 활용을 좀더 응용하여 아래와 같이 토런트명 앞에 특수문자를 사용해 줄 수 있습니다.
(토런트명 변경은 해당토런트 선택 후 F2 누르면 됩니다. 실제 토런트 파일명이 변하는 것은 아니고, 리스트에서의 이름만 변경됩니다.)

11hr5.png

#은 내가 직접 업로드한 자료, @은 한국가요를 표시한 것입니다. 이런 방법으로 해당 라벨안에서 파일명 정렬을 통해 좀 더 세부적인 분류를 가능하게 합니다.

토런트 클라이언트에서 빨간 화살표의 의미

클라이언트는 uTorrent 만 쓰고 있습니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uTorrent 를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1. 빨간 화살표의 의미 (/ : tracker error)
일단 uTorrent 도움말을 보면 다음과 같이 되어있습니다.
<style>.quotetop { BORDER-BOTTOM: 0px;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3px; MARGIN: 2px auto 0px; PADDING-LEFT: 3px; PADDING-RIGHT: 3px; BACKGROUND: #e4eaf2 no-repeat right 50%; COLOR: #000; FONT-SIZE: 12px; BORDER-TOP: #dedede 1px solid;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3px } .quotemain { BORDER-BOTTOM: #dedede 1px solid; BORDER-LEFT: #dedede 1px solid; PADDING-BOTTOM: 4px; MARGIN: 0px auto 9px; PADDING-LEFT: 4px; PADDING-RIGHT: 4px; BACKGROUND: #fafcfe; COLOR: #465584; BORDER-TOP: 0px; BORDER-RIGHT: #dedede 1px solid; PADDING-TOP: 4px } </style>
인용:
These red icons indicate that ?Torrent was not able to reach the tracker. This could happen when the tracker goes offline, becomes overloaded, or when the domain simply doesn't exist anymore. Check Tracker Status on the General tab to see what the exact error message is.

In some cases, this is normal because the tracker is overloaded or temporarily down. The torrent itself should keep seeding/downloading as long as you got some peers, and if the tracker comes back up or becomes responsive, you should have no lost ratio so long as you don't close ?Torrent or stop the torrent.
다른 말로 하면 트래커 접속이 불가능할 때 발생하는 것인데요.
실제로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실제 사이트 접속이 안될 경우
최근의 HDC 처럼 DoS 공격이나 사이트 과부하 등에 의해서 일시적으로 트래커가 죽을 때가 있습니다. 이런 때는 다운로드/업로드 공히 빨간 화살표로 바뀌게 됩니다. 트래커와의 동기화가 항상 일어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처음에는 한두개이다가 점차 많아지게 되구요. 트래커가 살아나게 되면 역시 점차적으로 녹색아이콘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트래커가 살아났을 경우 죽은 토렌트를 [트래커 업데이트] 를 해주게 되면 2-3초 내로 상태가 갱신됩니다.


2) 다운로드 개수제한
HDC 의 경우 동일파일에 대한 동시다운로드를 제한하고 있고, User level 의 경우 동시에 다운로드되는 토렌트 개수를 5개로 제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트래커 제한을 넘어서서 다운로드를 하게 되면 빨간 아이콘이 뜨게 됩니다. 해결방법은, 당연히 다운을 안받는 것이지요.

그런데,
동시에 다운받는게 아니거나 5개를 다운받지 않는 상황에서도 빨간 아이콘이 뜰 수가 있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는 저는 주로 uTorrent 를 정상적으로 종료하지 못하고 강제종료했을 때 발생했습니다.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있지 않지만 트래커는 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계속 다운로드하고 있다고 인지하기 때문에 다시 받으려고 할 때 중복다운로드로 인식하여 접속을 제한하고 다운로드 슬롯을 잡아먹는 것입니다. 이러한 경우가 참 고약한 경우인데요, 기다리는 것 외에는 방법이 없습니다.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는 복귀가 됩니다.

또 다른 원인으로는 파일의 일부만 받은 경우입니다. 파일의 일부만 받을 경우 uTorrent 에서는 seeding 으로 표시되지만 트래커에서는 다운로드중으로 인지하기 때문에 다운로드 슬롯을 계속 잡아먹는 상황이 됩니다. 이런 파일을 찾아서 삭제해주면 문제는 해결됩니다.


3) 토렌트가 삭제된 경우
자신이 업로드한 토렌트가 어떠한 원인으로 삭제된 경우에도 (주로 중복때문입니다) 빨간 업로드 아이콘이 뜨게 됩니다. 해당 토렌트만 색이 바뀌기 때문에 다른 원인에 비해서 쉽게 원인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해결방법은 트래커 사이트를 방문해서 삭제를 확인하고 uTorrent 에서도 지우는 것뿐이죠 :윙크:


4) TCP/IP 접속제한에 걸린 경우
Windows XP 의 경우 웜바이러스의 확산을 저지하고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TCP/IP 슬롯 개수에 제한을 걸어놓았습니다. 대여섯개의 토렌트만 업/다운을 한다면 큰 문제가 없지만 저의 경우 100 개 정도를 넘어가기 시작하면서 이러한 에러가 뜨기 시작했습니다. 이 경우 한두개 토렌트씩 빨간 아이콘으로 바뀌고 이 토렌트를 트래커 업데이트 하면 조금 있다가 녹색으로 바뀌지만, 금방 다른 토렌트가 또 빨간 아이콘으로 바뀌게 됩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법은 TCP/IP 접속제한 패치를 실행해서 제한수치를 수정하는 것입니다.

uTorrent v2.0의 새로운 기능 Transfer Cap

uTorrent 가 v2.0으로 정식 릴리즈되어 설치해 보았습니다.

기존 v1.8.5를 사용하다가 교체를 했는데...

새로운 옵션이 있어 포스팅합니다.

새로운 옵션의 이름은 "Transfer Cap" 입니다.

transfercap.jpg
1. 기능
- 사용자가 지정한 일정량 또는 일정기간이 되면 자동으로 Seeding을 중지하는 기능

2. 옵션
1) Uploads : 업로드에만 적용
2) Downloads : 다운로드에만 적용
3) Uploads + Downloads : 업로드와 다운로드 모두 적용

3. Reach 설정부분
1) 옵션에서 적용한 것에 대한 최종 합계량을 정합니다.
단위는 MB와 GB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옵션에서 적용한 것에 대한 기간을 정할 수 있습니다.
단위은 Day 입니다.

4. 필요성
- 많은 트래커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관리하기 힘든 하드용량에 대한 관리에 크지는 않지만 도움이 된다.
- 사용자가 일일히 확인할 필요없이 일정기간 및 일정량에 따라 자동으로 완료해 주니
편의를 제공한다.

이상입니당.

uTorrent 포터블화 하는 방법

1. uTorrent홈페이지에서 최신 standalone version을 다운로드 받는다.
2. 다운로드 받은 파일과 동일한 폴더에 빈 텍스트 파일을 생성하고 이름을 settings.dat 로 변경한다.
3. uTorrent를 실행하고 설정을 맞추면 끝.

너무 쉬워서 이거 뭥미 ㅡ_ㅢ;;

이렇게 하면 쉽게 무설치로 사용 가능하다..
다만.. 일부 레지스트리 정보가 남는다는 것...

비토토렌트)초보를 위한 utorrent,bittorrent에서 라벨 쉽게 지정하기

처음 프로그램을 쓰는 분에게 유용할 듯 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오렌지색 동그라미 쳐진 부분에서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라벨만 선택하도록 나옵니다. 16366805.jpg

비트토렌트 받고 남은 기록 지우기 ^^ 초보를 위한 아주 간단한 관리 팁

시작->실행-> %appdata%\utorrent
지금것 받았던 토렌트 기록, 잘 정리해주시면 됩니다.

안전하게 이메일 주소 알려주기 scr.im

토런트 편집기 소개 - maketorrent

꽤 오래된 편집기인데 아직 통하네요.
혹시 중복이면 삭제해 주시거나, 댓글 주시면 자삭하겠습니다.

워낙 단순한 프로그램이라 설명이 필요없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저는 아래 2가지 상황에 사용합니다.

1) 트래커를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을 떄.
2) cross-seeding을 해야 할 때 필요한 거 같습니다.
3) FEATURES:
- Complete Win32 re-write
- Built-in Torrent Editor/Viewer
- Automatic update of trackers, as well as personal tracker supoport
- 2 modes: Simple and Classic
- Support for backup/multi trackers
- .. more!

ㄱ. 간편 트래커관리 : 토런트파일들의 트래커나 설명을 한꺼번에 설정할 때


-. 토런트 파일들은 ctrl키나 shift키로 여러개 선택 가능
-. tracker는 "Settings"탭에서 자기만의 리스트를 만들 수 있음.
-. visit단추는 트래커를 check합니다.
-. Use backup Tracker(s) 단추는 tracker를 여러개 추가할 떄 사용합니다.
-. 다운로드가 안 될 떄, 트래커를 바꿀 때 등 사용합니다.

ㄴ. 토런트 확인 및 편집


-. 어쩌다 이것만 사용합니다.
-. 저는 cross-seeding이나, 접속속도가 빠른 공개 트래커를 하나 붙여 줄 때 사용합니다.
트래커를 저장보관하는 "백업"이 아니라, 보완해주는 의미인거 같습니다.
-. 트래터를 추가해 놓고 "View/Edit Torrent"에서 "Save As"로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 다음 다시 여기서 열어 보면 추가되어 있습니다.

ㄷ. 트래커 유지 관리


-. Name 적어넣고, Announce Url:, Website Url을 적거나 편집하고 Save now
-. Modify, Delete는 Save now

다운로드 : 혹시 원본이 없어질까 싶어 여기에 첨부도 했습니다.

싸이트: http://krypt.dyndns.org:81/torrent/maketorrent/
프로그램 소스 : DOWNLOAD MakeTorrent v2.1 Source Code (Delphi; GPL; ZIPed)

비트토렌트) 프리리치와 힛앤런의 관계

이 글은 비공개 트래커를 처음 접하는 유저분들의 특히 프리리치와 힛앤런에 대한 오해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하여 작성합니다. 간단하게 작성한 후 차례로 내용을 보강하겠습니다.


1. 토런트 다운로드

이 과정은 트래커에서 torrent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데이터를 내려 받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에서 다운로드와 업로드 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트래커 업데이트

클라이언트에 기록된 다운로드양과 업로드양은 클라이언트의 트래커 업데이트 기능을 통해서 트래커 서버에 저장됩니다. 이때 각 torrent파일별로 패스키를 통해서 개인을 구별하여 저장합니다.

3. Ratio 산정을 위한 옵션적용

클라이언트를 통해서 트래커로 전달된 다운로드, 업로드 데이터는 비로소 프리리치, 하프리치, 더블업로드 등의 옵션이 적용됩니다. 프리리치라면 기록된 다운로드양 중 0 이 반영되고, 하프리치라면 50%, 더블업로드라면 업로드양이 200% 적용됩니다.

4. 옵션이 적용된 다운로드반영값, 업로드반영값을 기준으로 Ratio 산정

옵션이 적용된 각각의 다운로드값과 업로드값을 가지고 개인의 전체 ratio를 산정합니다.

-------------------------------------------------------------------------------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의 정보가 트래커에 전달된 후 옵션적용을 거쳐서 Ratio에 반영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개별 토런트의 Snatched목록에 기록되는 다운로드양과 Ratio산정을 위해서 옵션이 반영된 다운로드반영값을 구별하여야 합니다.

즉 프리리치 자료를 받았다고 Snatched목록에는 자신이 다운르도 받은 만큼 기록이 남습니다. 대신 옵션적용을 통해서 Ratio산정을 위한 다운로드 반영값은 0이 됩니다.

따라서 프리리치 자료를 받은 경우 다운로드양은 없고 업로드만 했으니 힛앤런 규정에 해당되지 않겠다는 것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프리리치, 하프리치, 더블업로드 등의 옵션은 일단 다운로드양이 트래커에 기록된 후에 Ratio산정을 위한 반영값계산 시에 적용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비스타 SP1 TCP/IP half-open 제한 해제 방법 총정리 (32bit + 64bit)

Windows Vista SP1 의 TCP/IP Half-Open 연결 제한을 해제하는 방법입니다. (32bit / 64bit 모두 포함합니다.)

본 TCP/IP Half-Open 연결 제한 해제 방법은
Windows Vista SP1 (버전 6001.18000 : SP1 정식버전 및 SP1 RTM, SP1 RC Refresh2 포함) 전용입니다.

Windows Vista에 SP1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SP1을 먼저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설명은 길지만 알고 보면 간단한 방법입니다.


-----------------------------------------------------------------------------------------------------------------------------------------------
TCP/IP Half-Open 이란 간단히 말해 내 컴퓨터가 동시에 처리 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의 수 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과도한 인터넷 연결을 시도해 시스템 장애를 유발하는 바이러스나 웜의 공격을 막기 위해
Windows는 XP SP2 버전 이후 부터 TCP/IP Half-Open의 연결 개수를 10개로 제한하여 이러한 형태의 공격을 방어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P2P프로그램들은 동시에 많은 연결을 확보(= 많은 상대방을 확보)하여 전송 속도와 안정성을 높이는 원리로 작동되기 때문에
P2P프로그램 사용 중에 TCP/IP Half-Open 연결의 수가 한계값에 다다르면 그 이상의 연결은 대기 상태에 머물게 되어
더 이상의 Peer 연결을 통한 속도 향상이 힘들게 되고, 또한 추가적인 웹 서핑 등의 기타 인터넷 연결을 시도할때
인터넷은 물론 시스템 전체가 느려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TCP/IP Half-Open의 연결 제한을 조정하는 것은 내 컴퓨터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연결의 수를 더 많이 확보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여유로운 인터넷 환경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비유하자면, 고속도로의 속도제한을 시속 100Km에서 200Km로 끌어 올려 속력을 더 내게 하는 것은 아니지만
2차선인 차선의 폭을 10차선으로 확장하여 소통을 원활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차가 안막히면 속도도 높아지고 운전이 쾌적해지는 법이겠죠.


-----------------------------------------------------------------------------------------------------------------------------------------------
Windows Vista의 TCP/IP Half-Open 제한을 담당하는 파일은
\Windows\System32\Drivers 에 위치한 Tcpip.sys 라는 파일입니다.

TCP/IP Half-Open 제한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어떻게든 이 Tcpip.sys 파일을 변경(크랙)해주어야 하는데
Vista SP1의 경우 이 파일을 직접 변경(크랙)하게 되면 시스템 부팅시 Tcpip.sys 파일에 포함된 디지털 서명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부팅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알려진 TCP/IP Half-Open 제한을 변경하는 방법은

원본 Tcpip.sys 파일로 부팅과정을 통과 한 후 이미 크랙되어 있는 CrackTcpip.sys 파일을
(윈도우 레거시 서비스에 등록해) 시스템 시작시 대신 로드하는 방식 (32bit의 경우에만 해당)

원본 Tcpip.sys 파일을 직접 변경하고 ReadyDriverPlus라는 간단한 프로그램을 설치해
부팅시 디지털 서명 확인 과정을 자동으로 건너뛰는 방식 (32bit, 64bit의 경우 모두 해당)

두가지가 있습니다.

현재 이 두가지 방식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부팅시 디지털 서명 확인을 건너뛰는 과정이 없어 부팅과정이 깔끔하고,
10개로 설정된 TCP/IP Half-Open 제한을 255개로 늘려주지만, 255개 이외의 수치를 임의로 지정할 수 없습니다.

후자의 경우에는 부팅시 디지털 서명 확인을 건너뛰는 과정이 화면에 출력되지만
TCP/IP Half-Open 연결 제한을 최대값인 16777214개 까지 마음대로 설정 할 수 있습니다.

찬찬히 읽으시고 (32bit의 경우에는 선호하는 방식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원본 Tcpip.sys 파일은 그대로 두고 다른 파일을 대신 로드하는 방법
Windows Vista SP1 32bit 에만 해당. 255개로 고정.


파일 명이 유사하니 정확한 파일명을 확인한 후 적용하세요.

1. 첨부파일 중 CrackTcpipv744.zip 을 다운로드 하여 임의의 장소에 압축을 풀어둡니다.

2. CrackTcpip.sys 파일을 \Windows\System32\Drivers 폴더에 복사합니다.

3. TestInstall.reg 파일을 더블클릭해 레지스트리에 등록합니다.

4. 재부팅 합니다.

5. Run.bat 파일을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CrackTcpip가 레거시 서비스에 등록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시스템 시작시 이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지는 않습니다.)

만약 지금까지의 과정중에서 문제가 발생했다면 CrackTcpip 서비스를 중지하기 위해 다시 재부팅 한 뒤에
\Windows\System32\Drivers 폴더의 CrackTcpip.sys 파일을 삭제하고 Uninstall.reg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레지스트리를 삭제하는 것으로 모두 원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6. Install.reg 파일을 더블클릭해 레지스트리에 등록합니다.
(시스템 시작시 CrackTcpip 레거시 서비스가 자동으로 시작되게 합니다.)

7. 마지막으로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CrackTcpip 서비스를 온전히 활성화 시킵니다.
(재부팅 대신에 다시 한번 Run.bat 파일을 오른쪽 클릭해서 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해도 됩니다.)


설치완료 후의 복원방법은

1. Uninstall.reg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레지스트리를 삭제합니다.

2.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3. \Windows\System32\Drivers 폴더의 CrackTcpip.sys 파일을 삭제합니다.


-----------------------------------------------------------------------------------------------------------------------------------------------
Tcpip.sys 파일을 직접 변경하고 부팅시 디지털 서명 확인 과정을 건뛰는 방법
Windows Vista SP1 32bit / 64bit 모두 해당. Half-Open 값 자유로이 설정 가능.


Tcpip.sys 파일을 직접 변경하게 되면 윈도우는 부팅에 실패하고 몇가지 부팅에 관련된 옵션을 제시하게 됩니다.
이 옵션들 중에서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안함' 이라는 옵션을 찾아서 실행시키면 윈도우는 아무 문제 없이 정상적으로
부팅&작동합니다.

매번 부팅시 마다 수동으로 직접 화살표 키를 이동시켜 옵션을 찾아 선택해줘도 되고
ReadyDriverPlus라는 간단한 무료 공개 프로그램을 설치해 자동으로 옵션을 선택하게 만들어도 됩니다.

ReadyDriverPlus라는 프로그램은 무언가 대단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고
우리가 손으로 직접 화살표 키를 움직이는 과정을 정해진 순서에 따라 대신해주는 역할을 할 뿐입니다.
일종의 매크로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따라서 ReadyDriverPlus를 설치해서 자동으로 하든 손으로 직접하든,
똑같은 부팅 방식의 똑같은 화면을 진행하게 됩니다.



먼저 Tcpip.sys 파일을 변경합니다.
파일 명이 유사하니 정확한 파일명을 확인한 후 적용하세요.

1. 첨부파일 중 VistaTcpipUacPatch21a.rar을 다운로드하여 임의의 장소에 압축을 풀어둡니다.

2. 32bit의 경우 InstallPatch32.bat 파일 / 64bit의 경우 InstallPatch64.bat 파일을 실행하여
지시대로 적용합니다. (키보드 두번 누르면 끝)



그 다음 ReadyDriverPlus를 설치하는데,
멀티부팅 시스템의 경우 설정이 까다롭습니다. 잘 읽으셔야 합니다.


Windows Vista 하나만 설치 되어 있는 단일부팅 시스템의 경우

1. SetupReadyDriverPlus.exe를 실행합니다.

2. 기본적으로 주어지는 설치 옵션을 건드리지 말고 그대로 설치합니다. 완료후 아래 5번으로 넘어가 계속 진행합니다.




Windows Vista 이외에 다른 OS가 함께 설치되어 있는 멀티부팅 시스템의 경우

멀티부팅 시스템의 경우에는 필히 ReadyDriverPlus의 작동 원리를 이해해야 합니다.

멀티부팅 시스템은 부팅과정중에 부팅 할 OS를 선택하는 과정(부트로더가 출력되는 과정)이 있습니다.
예를 들자면
Windows XP
Windows Vista
Windows 2008
이런 식으로 목록을 출력해주고 일정시간 안에 부팅할 OS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죠.

ReadyDriverPlus는 이 부트로더를 이용합니다. 즉, ReadyDriverPlus 역시 부팅될때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를 부트로더에 등록시켜서 자신이 선택되면 입력된 매크로 값을 실행하는 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ReadyDriverPlus를 설치하게 되면 부트로더의 OS 선택목록 맨 마지막에 ReadyDriver Plus 라는 항목으로 추가되게 됩니다.
가장 나중에 설치된 항목이니까 언제나 목록의 맨 마지막에 위치하게 되겠죠.
ReadyDriver Plus가 목록에서 맨 마지막이라는 것은 이제 고정된 값이니까,
이 녀석은 이제 자기 위로 몇번째에 Vista가 있는지 셈하게 됩니다.
위의 예시의 경우에는 위로 두번째에 해당하겠네요.
자기 위로 몇번째에 Vista가 있다라는 값이 주어지면, ReadyDriverPlus는 그만큼 화살표 윗 방향키를 눌러 위로 이동하고,
F8키를 누른 다음,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안함' 옵션 까지 가기 위해 화살표 윗방향 키를 두번 누르고,
마지막으로 엔터키를 누릅니다.
이것이 ReadyDriverPlus가 하는 일의 전부입니다.

이런 원리 때문에 ReadyDriverPlus는 설치시에 Vista가 자기 위로 몇번째에 위치하는지에 대한 값을 요구합니다.
또한 부트로더에 등록되어 구동되기 때문에 반드시 부팅시 읽어들이는 파티션, 즉 활성 파티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1. SetupReadyDriverPlus.exe 를 실행합니다.

2. 설치위치가 기본으로 C:\BOOT로 되어 있는데 C를 자신의 컴퓨터가 구동될때 맨 먼저 읽어들이는
활성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로 정확히 바꾸어야 합니다.

멀티부팅 시스템에서 활성파티션의 드라이브문자는 임의로 얼마든지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정확히 확인해야 합니다.
제어판-관리도구-컴퓨터관리-디스크관리 로 가서 아래쪽에 하드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들 중에서
'활성' 이라는 글자가 보이는 파티션(주로 가장 왼쪽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C, D 같은거)가 무엇인지 확인합니다.
(저의 경우 XP와 Vista 멀티부팅인데 가장 왼쪽 '활성' 파티션의 드라이브 문자가 D로 되어 있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D:\BOOT 가 되어야 겠네요.)

3. 다음 단계에서는 부팅시 OS 선택목록에서 Vista가 ReadyDriverPlus의 몇번째 위에 존재하게 되는지 선택해야합니다.

제어판-시스템-고급시스템설정-고급-시작및복구의 설정-시스템시작-기본운영체제 항목의 드롭다운메뉴를 눌러서
Vista가 밑에서부터 몇번째에 위치해 있는지 확인한 후
제일 밑에 있다면 1 Stroke, 밑에서 두번째에 있다면 2 Stroke, 세번째에 있다면 3 Stroke ... 이렇게 선택해줍니다.

4. 다음 단계의 체크항목들은 모두 체크 된 상태 그대로 두고 설치를 완료합니다.





5. 이제 레지스트리 수정을 통해 TCP/IP Half-Open 수치를 원하는 대로 설정합니다.

시작-실행-regedit 를 입력 해서 레지스트리 편집기를 불러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Tcpip\Parameters 로 이동합니다.
오른쪽 영역에 TcpNumConnections 가 추가되어있을 것입니다. 더블클릭합니다.
단위를 10진수(Decimal)로 선택해보면 327680 라는 값이 보일 것입니다.
이것은 위에서 Tcpip.sys 파일을 변경하는 과정 중에 기본적으로 세팅된 수치입니다.
이 수치를 10진수(Decimal)로 선택된 상태에서 최대 16777214 까지 원하는 값으로 설정합니다.
(16777214의 16진수 값은 fffffe가 될 것 입니다.)

6. 이제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부팅과정중에 ReadyDriver Plus가 작동해서 옵션을 찾아 들어가는 모습이 보일 것입니다.
부팅이 정상적으로 완료되면 설정이 끝난 것입니다.

7. 다시 제어판-시스템-고급시스템설정-고급-시작및복구의 설정-시스템시작을 확인해보면
ReadyDriver Plus가 기본 운영체제로 선택되어 있고
아래에 '운영체제 목록을 표시할 시간'은 3초로 세팅되어 있을 것입니다.
단일OS 시스템일 경우 이 3초 앞의 체크표시를 해제하면 부팅시 ReadyDriver Plus가 선택되길 기다리는 3초를 줄일 수 있습니다.
멀티OS 시스템의 경우 기본운영체제 항목및 대기시간을 원하는 데로 설정하면 됩니다.
단, Vista로 부팅할 때에는 이제 Windows Vista 대신에 ReadyDriver Plus를 선택해야 부팅과정이 자동으로 넘어갑니다.



복구방법

1. 만에 하나 설정이 잘못되어 부팅에 실패하고 부팅에 관련된 옵션값이 화면에 출력된다면,
혹은 ReadyDriverPlus를 설치하기 싫으시다면, 수동으로 부팅을 통과하면 됩니다.
방법은, 화면을 잘 읽어 보신 후 엔터키 등을 눌러 Windows Vista가 목록에 뜨는 화면까지 간 다음,
화살표 키로 Windows Vista에 흰색줄을 올려놓고 F8키를 눌러 나타나는 옵션중에
'드라이버 서명 적용 사용안함'를 선택해주면 이상없이 시스템을 시동할 수 있습니다.

2. 지금까지의 모든 세팅을 원상복구하는 방법은
제어판-프로그램및기능 에서 ReadyDriver Plus 1.1을 삭제하고 UndoPatch.bat를 실행하면 모두 복구됩니다.


-----------------------------------------------------------------------------------------------------------------------------------------------
최종적으로 uTorrent 를 변경된 TCP/IP Half-Open 값에 맞게 설정합니다.

uTorrent의 옵션-설정-고급 으로 갑니다.

bt.connect_speed : uTorrent가 1초에 연결할 수 있는 TCP/IP Half-Open 값입니다. uTorrent의 순발력과 관계됩니다.

net.max_halfopen : uTorrent가 최대로 이용하는 TCP/IP Half-Open 값입니다.

두 옵션 모두 변경한 TCP/IP Half-Open 연결 값 미만으로 설정합니다.



-----------------------------------------------------------------------------------------------------------------------------------------------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제어판-관리도구-이벤트뷰어-windows로그-시스템 에서 이벤트ID로 정렬한 후
4226번 이벤트가 더이상 발생하지 않는다면 잘 적용된 것입니다.



-----------------------------------------------------------------------------------------------------------------------------------------------
PS. '원본 Tcpip.sys 파일은 그대로 두고 다른 파일을 대신 로드하는 방법'에서 32bit용 CrackTcpip.sys 파일을
VistaTcpipUacPatch21a에 포함된 tcpip64-18000.sys로 교체해서 64bit에 적용하면 어떻게 되는지는 확인 못해봤습니다.

PS. mydigitallife.info 사이트와 이곳과 관련된 포럼들에서 파일을 얻었고,
ReadyDriver Plus의 사용 방법과 멀티부팅에 관련된 내용은 직접 맨땅에 헤딩해가며 알아낸 것입니다.

PS. 맨땅에 헤딩하는 과정중에 ReadyDriverPlus 설치 삭제를 반복하다보니 어느 순간 컴퓨터는 이상없지만
ReadyDriverPlus가 더이상 설치되지 않는 현상이 생겼습니다.
부득이하게 고스트로 복구했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